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사건사고 및 다양한 스토리

초복에 대하여

by 비주류인 2020. 7. 16.
반응형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삼복 중에서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을 초복이라고 합니다. 넷째 경일의 경우에는 중복, 입추 후의 첫째 경일을 말복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초복, 중복, 말복 3개를 삼복이라고 합니다. 

 

 

초복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서 엎드려 있는 날이라고 뜻입니다. 그래서 복 한자가 '엎드릴 복(伏)'을 씁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여름철의 더운 기운이 너무 강해서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한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삼복 때는 복날 각 지방에서는 술과 음식을 준비해 계곡이나 산을 찾아 하루를 즐겁게 보내며 더위를 잊었는데, 서울에서는 삼청동 성조우물물을 먹으며 계곡물에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였습니다. 이날 부녀자들은 약수에 머리를 감으면 풍이 없어지고 부스럼이 낫는다고 하여 해마다 행하였는데, 이를 ‘물 맞는다’라고 합니다.

 

 

하지만 초복은 1년 중에서 가장 덥기 때문에 농작물이 빨리 자라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살인 더위라고 할 정도로 온도가 엄청 높기 때문에 활동을 하기가 정말 힘듭니다. 하지만 농번기 시기이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은 영양식을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고기 요리나 수분을 보충하기 위한 국물 고기 요리를 주로 섭취했습니다. 

 

 

그리고 초복의 경우 예전에는 복날에 개를 먹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사마천의 <사기>에서는 성안 대문에서 개를 잡으면서 해충의 피해를 막고 개를 잡는 것이 복날의 옛 행사였고, 풍속에도 개장이 삼복 중의 가장 좋은 음식이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복날 개 맞듯이' 라는 말이 있듯이 과거에는 개를 도살할 때 두들겨 때려야 육질이 쫀득해진다는 잘못된 관행으로 인해서 퍼진 이야기라고 합니다. 하지만 개를 때려 죽으면 오히려 고기가 질겨지고 비릿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초복때는 삼계탕, 민어, 육개장, 전복죽, 용봉탕 같은 보양식을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보양식 이외에도 밖에서 땀을 많이 흘리는 일을 한다면 칼로리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일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