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것/생활 정보 관련

정월 대보름이란?

by 비주류인 2022. 2. 15.
반응형

 

항상 정월대보름이 되면 저희 어머님의 경우에는 찹쌀과 밤, 콩, 대추로 밥을 한 다음에 먹은 다음 마지막에

 

밤을 문다음에 부스럼 깨먹자! 라는 말을 하면서 먹었던 기억이 새록새록합니다. 그리고

 

이번 2022년 정월대보름이 다가오면서 왜 정월대보름이 되면 이러한 행동을 할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에 정월 대보름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이란?

 

 

 

정월대보름은 정월 15일에 가장 큰 보름이며 대보름은 상원(上元)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특히 정월 대보름의

 

경우 대한민국 전체의 세시 풍속에서 1/4를 차지할 정도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월대보름 날의 경우에는 달을 숭배하는 것으로 실제로 행사를 할 때는 대보름달이 차오르게 되면 모든 집이

 

등잔불을 켜놓거나 밤을 세우거나 횃불을 땅에 고정시켜놓고 소원을 비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잡귀와 해충을 없애기 위해 작은 구멍이 뚫려있는 깡통에 불을 붙여

 

빙빙 돌리면서 돌아다니는 놀이를 하곤 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음식과 이유

 

 

정월대보름의 경우에는 견과류 일명 부럼을 자기의 나이만큼 깨물면서 몸에 종기나 부스럼이 생기지 않도록

 

부럼을 깨물어서 기원하며 먹는 관습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어머님이 밤을 먹을 때 부스럼 깨먹자라고

 

말씀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찰밥과 약밥을 소개하기 전에 삼국유사에 나오는 소지왕의 이야기를 알아야 하지 않을가 싶어서

 

일단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느날 소지왕이 궁을 나섰는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었습니다. 그리고 쥐가 사람의 말을 하면서

 

왕에게 까마귀를 따라가라고 했고 임금은 신하에게 명령하여 까마귀를 따라가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신하가 어떤 연못에 도착했을 때 이상하게 돼지 두 마리가 싸움을 하고 있었고 신하는

 

돼지 싸움에 한눈 판 사이에 까마귀를 놓치게 됩니다. 그러자 연못에서 노인이 나타나면서

 

"봉투의 글을 읽을 시 두 사람이 죽고 읽지 않을 시 한 사람이 죽는다고 합니다." 라고

 

말을 하고는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신하는 이 편지를 임금한테 전하고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거 보다 한 사람이 죽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을 하여 편지를 읽지 않을려고 했으나 인간의

 

길흉을 점치는 관원인 일관이 "편지에서 한 명은 전하를 뜻하고 두 사람은 일반적인 사람을 뜻하니

 

편지를 읽어보십시요." 라고 하며 임금은 일관의 말에 동의하며 편지를 보았고 거기에는

 

'사금갑(거문고 갑)을 쏘시오' 라고 적혀있었고 활로 거문고 갑을 쏘고 열어 보니 두 사람이

 

활에 맞아 죽어 있었습니다. 사실 두 사람은 왕비와 중이였는데 이 둘이 임금을 죽이려고 했던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이라고 하며 찰밥을 준비해서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관습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여기서 찰밥이 진화하여 약밥이 되었다고 합니다.

 

 

 

 

나물반찬의 경우에는 9가지의 나물들을 잘 손질한 다음 겨울동안 말려놓았다가 대보름날이 되면

 

손질하고 잘 말린 나물들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나물반찬들은

 

건강에도 좋기 때문에 다시 농사일을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곡밥의 경우에는 찹쌀 기장 수수 서리태 팥을 넣은 다음에 오곡밥을 지은 후에 먹는다고 합니다.

 

오곡밥의 재료들은 예전에 추수를 하면서 잘 자란 곡식들을 한 번에 모아서 밥을 지은 것에 유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오곡밥을 먹는 경우도 있고 오곡밥은 농사를 하기 전에 영양 보충에

 

가장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월대보름 놀이

 

 

쥐불놀이 :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 전날에 논이나 밭에 불을 지르며 다니는 놀이입니다. 넓은 들판에 나가서

 

깡통에 작은 구멍을 뚫어서 깡통에 불을 붙여 빙빙 돌려 논과 밭에 잡초를 태우면서 쥐나 해충을 없애

 

피해를 줄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을 가지고 노는 놀이인만큼 위험하기 때문에

 

현재는 잘 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화왕산에서 억새를 태우려는 행사를 하다가 역풍이 불어서

 

많은 사상자들이 발생했기 때문에 한다고 해도 소방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고 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다리밟기 : 다리 밟기는 보름달이 떠오르기 시작하면 밤에 다리를 건너는 행동중에 하나입니다.

 

이 때는 남녀노소 직업 상관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다리를 건너곤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12 다리를 밟아서 건너게 되면 1년의 액을 없앨 수 있다는 생각에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줄다리기 : 우리가 잘 알고있는 줄다리기 같은 경우에도 대보름날에서 사람들이 두 개의 편으로

 

나누어서 줄을 잡아당기면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조사를 하다보니 정월대보름은 대한민국의 매력적인 풍습이자 온 국민들이 행복을 느꼈던 날이였다고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